본문 바로가기

취미/기록

소설의 정의

http://m.blog.daum.net/dorai9/492


◈ 소설의 이론 이해 ◈


1 . 소설의 개념
(1) 소설의 정의(定義) - 현실에서 있음직한 일을 바탕으로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낸 이야기. 독자에게 감동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산문문학의 대표적 갈래.
(2) 소설에 대한 여러 정의
① 시정(市井)의 이야기나 연애, 모험 이야기 : 소설은 독자에게 기쁨과 교훈을 주기 위해 기교적으로 쓴 연애, 모험담의 픽션이다. - Abbe Wet
② 인생의 표현 :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 - W.H. 허드슨
③ 허구의 세계 :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 된 가공적인 이야기이다. - E.M. 포스터

2. 소설의 기원(起源)
(1) 소설의 어원(語源) : 소설이 이야기체의 산문이란 점에서는 동서양이 공통된다. 
① 동양(東洋)
㉠ 중국 : 후한의 역사가 반고의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시정의 풍속을 다룬 이야기체의 산문'이란 뜻으로 '소설'이란 용어를 쓰고 있다. 
㉡ 우리 나라 : 고려 때 이규보의 수필집 '백운 소설'의 '소설(小說)'이 처음 보이는 예이며, 최초의 한문 소설인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최초의 국문 소설인 허균의 '홍길동전' 이후 많은 소설이 출현하였다. 
② 서양 : 중세 이후로 로망, 노블, 픽션, 스토리 등으로 쓰였다. 
㉠ 로망, 로맨스 : 라틴어가 아닌 속어(俗語), 즉 로망스어로 쓴 이야기라는 뜻으로, 흥미 중심의 모험적인 이야기.
㉡ 노블 : '트로이 이야기' 등 주로 기사(騎士)들의 모험담. 이탈리아어로 노벨라(novella)라 하며, '로망보다 새롭다'는 뜻으로, 신기한 내용의 짤막한 이야기.
㉢ 픽션[허구(虛構)] : 꾸며 낸 이야기.
㉣ 스토리 : 'history'와 같은 어원으로 현실(사실)의 이야기.
(2) 소설의 발생 과정
① 우리 나라 : 설화, 패관 문학(가전체)→고대 소설→신소설→근(현)대 소설.
② 서양(유럽) : 원시 서사시→예술 서사시→로맨스→근대 소설(novel)

3. 소설의 특징
(1) 허구성(Fiction) : 소설은 실재의 삶에서 소재를 취하지만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바탕으로 하여 있음직한 일을 꾸며서 쓰는 것이다.
(2) 진실성 : 소설은 허구의 세계를 그리지만, 궁극적으로는 인생의 진실과 참모습을 추구하여 인생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3) 산문성 : 주로 서술, 대화, 묘사에 의하여 기술되며 산문으로 기록된 대표적인 문학이다.
(4) 서사성 : 소설은 인물, 사건, 배경 등을 갖추어 일정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전개 함.
(5) 예술성 : 형식미와 예술미를 갖추어야 한다.


4. 소설의 인물 - 소설은 인물과 그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소설의 구성 요소 중에서 인물 설정이 가장 중요한 까닭은, 소설의 궁극적 대상은 인물을 통한 인간성의 탐구와 인간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1) 인물의 유형
1) 작품 속에서의 역할에 따라
․주 동 인 물 : 작품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소설의 주인공. 대체로 긍정적 인물
예) 춘향전에서 이도령이나 춘향
․반 동 인 물 : 주동 인물과 갈등, 대립하는 인물. 반대자. 부정적 인물
예) 춘향전에서 '변사또' 같은 인물
2) 중요도에 따라
․주 요 인 물 : 주인공, 또는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 
예) 춘향전에서 '춘향', '이도령'
․주 변 인 물 : 이야기의 진행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는 인물 
예) 춘향전에서 '향단', '방자'
3) 특성에 따라
․전형적 인물 : 한 시대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 
예) 고전 소설에서 춘향은 열녀의 전형, 흥부는 선인(善人)의 전형, 심청은 효녀(孝女)의 전형이다.
․개성적 인물 : 특정한 부류나 계층에 속하지 않고 개성이 뚜렷한 인물로, 이미 타인이 창조한 인물이어서는 안 된다. 한 개인만의 독특한 성격을 지닌 인물 
4) 성격의 변화 여부에 따라
․평면적 인물 : 작품 속에서 성격이 변하지 않는 인물 
예)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서의 여주인공 '오작녀', 김유정의 '소낙비'에서의 '춘호', '흥부전'에서의 '흥부' 등.
․입체적 인물 : 환경이나 사건의 진행에 따라 성격이 변하는 인물 
예)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서의 '도섭 영감' 
5) 인생의 어떤 면을 보여 주는가에 따라
․비극적 인물 : 인생의 슬픈 면을 보여 주며, 제도나 인습, 또는 인간의 탐욕에 희생되는 비극적 요소를 지닌다.
․희극적 인물 : 인생의 코믹하고 유머러스한 면을 보여 주며, 시대나 사회에 대한 풍자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다. 
(2) 인물의 성격 제시 방법
1)직접적 제시 방법 
직접적 제시서술자가 인물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설명한다. 분석적 방법. 말하기
예)이대롱은 마음씨가 좋았다.
2)간접적 제시 방법 
간접적 제시등장 인물의 행동이나 대화를 통하여 나타낸다. 극적 방법. 보여주기
예)일쑤, 까치집을 뒤져 까치 새끼도 내려 주고, 박달 나무로 팽이도 다듬어 주었다. 
3) 평면적 방법 : 인물의 성격이 변하지 않는 전형적인 인물을 제시한다. 해학이나 풍자의 수단으로 적합하다.
4) 입체적 방법 : 변화와 발전이 있는 개성적 인물을 제시한다. 현대 심리 소설에 적용되고 있다. 
(3) 인물의 갈등
1) 내적 갈등 : 한 인물에게 일어나는 둘 이상의 마음이 갈등하는 것. 심리적 갈등. 양심↔비양심, 사랑↔증오, 선의(善意)↔악의(惡意)의 갈등
2) 외적 갈등 : 적대자나 반동 세력과의 갈등. 
① 개인과 개인 사이의 갈등(소설 속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긍정적 인물과 그에 반대하는 부정적 인물 사이의 갈등)
② 개인과 사회 사이의 갈등(개인이 살아가면서 겪는 사회 윤리나 제도와의 갈등)
③ 개인과 운명의 갈등(개인의 삶이 어쩔 수 없는 운명에 의해 좌우되는 데에서 오는 갈등-김동리의 '역마').
(4) 인물의 묘사
1) 외양 묘사 : 성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인물의 겉모습이나 심리를 묘사한다. 
2) 심리 묘사 : 인물의 심리, 내면의 모습을 묘사한다. 심리 묘사는 복잡한 인상을 준다.

5. 소설의 배경 - 배경(背景)이란 행위나 사건이 일어난 시간과 장소를 가리킨다. 소설에서 배경은 인물과 사건을 보다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작품의 의미나 주제와 깊이 관련되며 독자에게는 신뢰감을 준다. 또한 인물의 심리와 사선의 전개에 대하여 암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함.
(1) 배경의 종류
1) 자연적 배경 : 시간․공간적 배경. 등장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드러내거나, 공간적 자연 상태를 말함.
2) 사회적 배경 : 시대적 상황, 역사적 흐름. 예)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
3) 사상적 배경 : 작품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사상(思想).

6. 소설의 구성
(1) 소설 구성의 3요소
1) 인물(人物) :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 개성, 전형성, 보편성을 지녀야 한다. 
2) 사건(事件) : 등장 인물들의 벌이는 행동('갈등'에 의한 전개)
3) 배경(背景) : 사건이 벌어지는 시간적 공간적 환경(때와 장소)
(2) 소설의 구성 단계
1) 발단 : 인물과 배경이 소개되고 사건의 실마리, 사건의 방향에 대한 암시가 제시되는 부분
2) 전개 : 사건이 점차 발전하는 단계, 갈등(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사이의)이 드러남
3) 위기 : 긴장감과 갈등이 깊어지고(갈등의 고조) , 절정에 이르는 계기를 마련해 줌
4) 절정 : 긴장과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성격과 주제가 제시되는 부분
5) 결말 : 갈등이 해소되고, 사건이 해결되는 부분
(3) 구성의 유형
1) 이야기의 수에 따라
① 단일 구성 - 하나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만으로 전개. 주로 단편 소설에 쓰임.
② 복합 구성 - 두 개 이상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복잡하게 얽혀 전개. 장편 소설
③ 피카레스크식 구성 - 서로 다른 각각의 이야기들이 동일한 주제 아래 통일되어 엮어져 전개되는 구성이다. 
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2) 사건의 진행에 따라
① 평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구성. '과거-현재-미래'(순행적 구성)
② 입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지 않고 '현재-과거-미래'. 또는 '과거-미래-현재' 등으로 전개되는 구성으로 현대 소설, 특히 심리 소설에 많이 나타남.(역행적 구성)

7. 소설의 복선(複線) - 앞으로 일어 날 사건이 우발적 돌발적 사건이 아님을 보여 주고, 그 사건에 필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미리 그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장치이다.

8. 소설의 시점, 거리
(1) 시점 : 소설 속의 인물이 성격이나 행위 등을 누구의 눈으로,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야기하는가를 소설의 시점이라고 한다. 소설 전개의 관점은 1인칭과 3인칭의 두 가지이다.
※ 서술자 : 작자의 피조물로서, 작자가 아니라 청자와 서사 내용 사이에 개입된 화자가 곧 서술자이다. 작자를 대행하는 허구적인 대리인이다. 
(2) 시점의 종류
1) 1인칭 서술자(주인공) 시점 : 1인칭 주관적 시점, 1인칭 주동자 시점 등으로도 불린다. 
① 주인공이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점(허구화된 '나'의 이야기)
② 사건의 내적 분석에 의존하며 '의식의 흐름'을 드러내는 소설이 될 수도 있다. 
③ 등장 인물의 내면 세계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예) 현진건의 '그리운 흘긴 눈', 이상의 '날개', 유진오의 '창랑정기', 서간체 소설, 일기체 소설, 사소설(私小 說), 심리 소설 등 현대 소설에서 많이 사용된다. 
2) 1인칭 관찰자 시점 : 1인칭 목격자 시점, 1인칭 관찰자 서술이라고도 한다. 
① 작품 속에 등장하는 부 인물인 '나'가 주인공의 이야기를 서술한다. 
② 인물의 초점은 '나'가 아니라 주인공에 주어진다. 
③ 객관적인 관찰자의 눈에 비친 인간 내면 세계를 그리는 데 효과적이다. 
예)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동인의 '붉은 산', 현진건의 '빈처', '고향' 등
3) 작자 관찰자 시점 : 3인칭 제한적 시점, 흔히 3인칭 시점으로 불린다. 
① 작자가 외부적인 관찰자의 위치에서 서술하는 방법.
② 외부 관찰에 의거하여, 해설이나 평가를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제시한다.
③ 현대 사실주의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점으로 단편소설에서는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한 수법으로 효과적이다. 
예) 염상섭의 '임종', '두 파산', 황순원의 '소나기' 등
4) 전지적 작가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전지적 작가 서술이라고도 한다.
① 작자는 전지 전능한 위치에서, 각 인물의 심리 상태나 행동의 동기, 감정, 의욕 등을 서술한다.
② 등장 인물의 심리는 물론, 아직 등장하지 않은 인물의 성격이나 행위까지도 묘사가 되었다. 
예)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 이광수의 '무정' 등
(3) 시점의 분류 기준
1) 서술자의 위치 : 서술자가 등장 인물이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2) 서술자의 태도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 속에 들어가 있느냐, 아니면 바깥에서 관찰만 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4) 시점의 혼합 : 그밖에도 1인칭의 두 형태가 혼합되거나 1인칭 관찰자 시점과 3인칭 시점이 혼합된 경우가 있는데, 이른바 액자(額子) 소설로서, 이는 이야기의 틀 속에 이야기가 들어가는 형태이다. 대표적 예로는 김동인의 '배따라기', 김동리의 '무녀도'와 '등신불' 등이다.
(5)거리 - 작가(서술자)와 독자, 작가(서술자)와 작중 인물,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 및 독자와 작품 사이의 심적(心的)․미적(美的) 거리
시점 및 서술 방법1인칭 주인공/전지적 작가 시점(말하기)1인칭 관찰자/작가 관찰자 시점(보여주기)서술자 - 등장 인물 사이 거리가장 가깝다/가깝다멀다/가장 멀다서술자 - 독자 사이 거리가깝다멀다독자 - 등장 인물 사이 거리멀다 가깝다.

*거리와 시점의 관계 
1)서술자와 등장 인물 사이 거리
1인칭 주인공 시점은 등장 인물과 서술자가 동일하기 때문에 서술자와 등장 인물 사이의 거리가 거의 없다. 따라서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서술자와 등장 인물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깝다. 전지적 작가 시점 역시 등장 인물의 심리까지도 알고 있으므로 가깝다. 반면 작가 관찰자 시점에서는 서술자가 등장 인물의 외면만을 관찰하므로 서술자와 인물 사이 거리가 가장 멀다.1인칭 관찰자 시점도 등장 인물과 좀 떨어진 거리에서 관찰하므로 거리가 멀다.
2)서술자와 독자 사이 거리
말하기가 보여주기보다 서술자와 독자 사이 거리가 가까운데, 이 중에서도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 전지적 작가 시점보다 서술자와 독자 사이 거리가 더 가깝다.
3)독자와 등장 인물의 거리
독자와 등장 인물 사이 거리는 서술자와 등장 인물 사이 거리에 반비례한다. 즉, 서술자가 등장 인물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려 줄 때, 서술자와 등장 인물의 거리는 가깝게 되지만, 독자들은 자신이 등장 인물에 대하여 생각하거나 다가가는 노력을 할 필요가 적어지므로 독자와 등장 인물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반대로 서술자가 등장 인물에 대하여 객관적 태도, 관찰자의 입장에 서 있을 때 독자들은 서술자의 관찰에 의해 보여지는 등장 인물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추리하고 상상하고 판단하는 등의 심리적으로 가까이 다가가는 노력을 해야하므로 거리가 가까워진다고 할 수 있다.

9. 소설의 문체 - 말이 어떠한 개성적 특성을 보이며, 어떻게 조직되고, 일정한 질서를 이루고 있는가의 표현 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다.
(1) 문체의 요소 
① 서술 : 설명하는 문장. 인물,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해설적이고 추상적이며 요약적임. 서술만 가지고는 구체적이고 형상화된 소설을 이루기 어렵다. 
② 묘사 : 작가가 객관적인 위치에서 인물, 배경, 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냄. 독자에게 구체적인 이미지를 생생하게 재현시켜 줄 수 있다. 고대 소설이 서술 중심이라면, 근대 소설의 특징은 묘사 수법에 있다. 
③ 대화 : 등장 인물의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하는 기능을 지닌다. 대화는 스토리와 유기적으로 결합해야 하고 화자의 성격 및 말하는 경우(환경)에 일치해야 하며 자연스럽고 극적이어야 한다. 간결하고 암시적인 대화는 사건의 전개에 결정적 영향을 주며, 사투리나 특이한 구어체(口語體)의 사용은 독특한 느낌을 주게 된다. 
(2) 작가와 문체 :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다. 작가는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문체를 사용한다.

10. 소설의 갈래
(1) 분량에 따라
① 장편(掌篇) 소설 : 꽁트라고 하며, 매우 간단한 것을 함축성 있게 표현한다. 작가의 뛰어난 기교, 재치, 해학이 필요하다.
② 단편(短篇) 소설 : 원고지 100매 내외의 것으로 인생을 단면을 그리므로 주제, 구성, 문체가 단일하여 통일된 인상을 준다.
③ 중편(中篇) 소설 : 200~500매 정도로 단편과 장편의 중간적인 특징을 지닌다. 주제나 구성적인 측면에서는 장편에 가깝다.
④ 장편(長篇) 소설 : 1000매 이상이며, 사회의 총체적이고 전체적인 모습을 그린다. 따라서 주제, 구성, 문체가 복합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지닌다.
(2) 작가의 의도에 따라
① 순수 소설(본격 소설) : 예술성을 추구하는 작품으로, 예술적 아름다움이나 문학적 가치 외의 어떤 목적도 거부하는 소설이다.
② 목적 소설 : 작품의 효용성(效用性), 즉 독자에게 어떠한 교훈이나 도움을 주느냐를 최우선의 목적으로 삼는 소설이다.
③ 대중 소설(통속 소설) : 독자에게 흥미나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문학적 가치나 예술적 아름다움은 무시되는 소설이다. 이런 작품의 대부분은 남녀의 사랑을 제재로 한, 질이 낮은 작품들이 많다.
(3) 인물의 묘사 방식에 따라
① 성격 소설 : 인물의 성격 묘사를 위주로 한 소설이다.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그리고 외부 관계를 중시한다.
② 심리 소설 : 인물의 내면 의식의 흐름을 주로 묘사하는 소설이다. 예) 이상의 '날개'
(4) 작품이 쓰여진 시대에 따라
① 고대 소설 : 개화기 이전에 쓰여진 소설을 말한다. 예) '심청전', '춘향전', '구운몽' 등
※ 최초의 소설;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 - 한문 소설
최초의 한글 소설; 허균의 '홍길동전(洪吉童傳)'
② 신소설 : 개화기 이후부터 이광수의 '무정(1917)'이 쓰여지기 전까지의 소설을 말하며, 언문 일치에 가까운 문장으로 자유 연애, 신교육, 미신 타파 등의 계몽적 내용을 담고 있다.
예) 이인직의 '혈의 누' - 최초의 신소설, 이해조의 '자유종' 등
③ 현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 이후부터 쓰여진 소설로서 언문 일치의 문장으로 쓰여졌으며, 내용과 형식 면에서 매우 다양하다.

11. 소설의 주제(主題)
(1) 주제의 정의 : 주제란 작품에 의도된 중심 사상이나 작자의 인생관이다. 
① 주제는 동기(動機)에서 비롯되지만 동기 그 자체는 아니다.
② 주제는 스토리라든지 제재(題材) 속에 구체화되어 나타나지만, 제재 그 자체는 아니다.
③ 주제는 작자가 작품을 쓰려고 하는 의도나 목적과 관련은 있지만, 목적 자체는 아니다. 
④ 작자의 인생관이나 사상에서 이루어지지만, 작자의 인생관 그 자체가 주제는 아니다. 즉 소설의 주제는 작자의 인생관이나 사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나, 작품의 주제와 작자의 인생관이 별개의 것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주제의 표현 방법
1) 명시적(明示的) 진술 방법 : 작자 자신의 서술에 의해 진술되는 방법. 즉, 작자가 독자에게 어떤 교훈을 주려는 노력인데, 고대 소설 또는 현대의 교훈, 계몽적 소설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이다. 
2) 함축적(含蓄的) 진술 방법 : 작품 속의 인물의 말이나 행위, 장면의 묘사, 서술자의 어조(語調), 전체의 줄거리, 분위기 등 작품의 구조를 통하여 주제가 암시적으로 전개되는 경우로, 현대 소설의 대부분이 이 방법을 쓰고 있다. 

12. 문학 감상의 관점 - 작품과 작자, 독자, 현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① 표현론(表現論, 생산론) - 작품이 작가와 맺는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
문학을 '작가의 체험과 사상의 반영물' 내지는 '작가의 창조 능력의 소산'으로 보아, 작품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의도를 알아야 한다는 견해임.
② 반영론(反映論, 모방론) - 작품과 작품의 대상이 되는 현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
문학은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의 모방 내지 반영이라는 점을 강조, 즉 작품에 나타난 현실과 실제의 현실이 맺고 있는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임.
③ 수용론(受容論, 효용론) -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관점
작품을 향유하는 독자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해석함. 수용론에서 수용자는 단순한 독자의 의미를 넘어서 '능동적 참여자'로 확장되는 개념임. 작품 해석이 수용자에 따라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독자의 역할을 부각시킴.
④ 절대주의론(絶對主義論, 구조론) - ①②③이 작품의 외적 요인과 작품의 관계를 중시하는 데 비하여, 절대주의적 관점은 작품 자체에 주목하여 그 가치를 내부에서 찾으려 한다. 작품의 내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문학 작품의 올바 른 이해에 도달할 수 있으며, 문학을 감상하는 데는 언어 표현의 방식과 작품의 내적 짜임새가 중요한 대상이 됨.
⑤ 종합주의적 관점 - 인간의 모든 면을 다루고 있는 문학의 세계는 어느 하나의 관점으로 설명될 수 없을 만큼 깊고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다각도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하려는 관점임.

'취미 >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트 칠하기, 애니메이팅  (0) 2017.02.25
NCHLShader2  (0) 2017.02.07
식자의 기본  (0) 2017.01.17
무당 관련 이야기  (0) 2016.11.21
아키히토 츠쿠시  (0) 2016.11.03
salty icecream  (0) 2016.06.11
일본 교복 레퍼  (0) 2016.05.18
MMD modeling  (0) 2016.04.20
つみ式みく  (0) 2016.04.20
3D 모델링 관련 기록  (0) 2016.04.19